- 기본 카테고리

자두아빠
- 작성일
- 2021.7.15
가축 이야기
- 글쓴이
- 김규섭 외 1명
EBS BOOKS
동물들은 모두는 아니지만 어쩌다가 인간에게 길들여지게 되었을까?
어떤 책에서 본 내용 중에서... 사실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그저 기억 속의 이야기이니 말이다.
그 내용 중에 개미들도 가축이라고 할 수 있을 지 모르겠지만 진딧물같은 것을 키운다고 하던데...
센 놈이 약한 놈에게 무언가를 얻어내기 위해서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조건을 강요하는 것이 가축화라고 말한다면 개미의 그것도 인간의 가축과 같은 그런 것이 아닐까 싶기는 하다.
여튼...
요즘같은 세상에서 고양이과 개와 같은 동물을 가축이라고 말하면 많은 사람들에게 지탄의 대상이 되어버리지 않을까 싶기는 하지만...
가축이라는 것이 길들여진 동물이라고 말한다면 개나 고양이도 가축이라고 해야겠다.
그런 면에서 개, 양, 소, 돼지, 닭 등의 익숙하게 들어본 동물들을 비롯해서 라마, 낙타, 알파카, 순록, 물소, 당나귀 , 노새, 염소, 야크... 참 많은 동물들이 인간의 편익을 위해 가축화의 과정을 거쳤다고 해야할 듯....
어떤 면에서는 동물이 인간에게 길들여지는 부분도 있겠고, 그런 동물들의 생활에 인간들이 길들여져 가는 것... 이 양쪽의 것이 모여서 가축화가 진행되고 서로에게 길들여져 가는 것은 아닐까?
그런데 가축화라는 이면에 인간의 인위적 선택의 결과로 그 동물이 가지고 있던 야생성이 사라져갔으리나는 추측은 왠지 씁쓸함을 갖게 한다.
그 한 편에 개라는 동물이 있는 것 같다. 집 안에서 키우기 좋도록 몸집도 작고 털도 덜 빠지고 교육 효과가 좋은 품종으로 개량하고 선택적으로 살아남겨 지금의 개가 되었다는 면에서 과연 반려 동물에 대한 존중 운동이 얼마나 위선적인 인간의 또 다른 모습인가 생각해보게 한다... 너무 극단적이고 단편적인가?
여튼...
그네들은 충성심을 바탕으로한 오락? 위안? 뭐 그런 것을 제공하고 더불어 노동력과 알과 젖을 제공하다가 결국에는 털과 가죽과 고기까지 모두 내어주고 생을 마감하니 인간에게는 더없이 소중하고 고마우며 감사한 존 재라고 해야겠다.
이런 것을 생각하면 가축을 도축하는 과정에서와 사육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많은 잔인함과 무지에서 비롯된 많은 행위들은 그런 희생에 대해 미안함을 불러오게 한다. 다만... 인간적인 시선을 유지한다는 것은 더불어 살아간다는 생명의 존재를 인정하다는 면에서 우리가 가져야할 바람직한 태도이겠으나 죄책감에 근접하는 지나친 인간화에 대해서는 조금 견제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개을 식용한다는 것은 문화적인 차이로서 인정하는 것이 맞을까 아니면 가장 친근한 가축을 넘어선 반려 동물로서의 자격을 부여하며 그 생명 존중의 차원에서 금해야 하는 것일까?
논란의 발단을 제공하거나 중심에 서는 것은 무서우니 여기까지만... ㅎ
파미르가 만든 신비의 영약이라니 당연히 먹어야 했다. 무미요는 검은 색의 양갱처럼 보이는 데 조금 떼어내 따뜻한 물에 타서 마셔야 한다.
'맛은 어땠냐고요? 쥐똥이 원료라기에 숨도 안 쉬고 그냥 꿀떡 삼켰더니 잘 모르겠습니다. 효과는 있었냐고요? 그것도 잘 모르겠습니다.'
p317
책의 중심 주제에서 벗어난 생각이 될 지도 모르겠지만...
동물의 길들여짐 과정와 뒷이야기에서 보다는 그 과정을 따라가는 피디들의 고생담과 여행담에 더 관심이 가게 되는 것은 왜일까?
개인적으로 오지에 간다는 것은 수많은 걱정거리를 놔두고 떠나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새로운 불편함을 한가득 맞이하게 된다는 것이기도 하기에 ... 난 정말 싫을 것 같은데...
일단 물갈이도 걱정이고 먹는 것은 입에 맞을까... 똥은 어디서 어떻게 눌까... 아주 춥고 아주 덥고 아주 끈적거리고 아주 건조하고... 아~~ 왜 생각만으로도 그냥 걱정스럽고 답답해지고 끔찍스러울까?
이런 모든 것을 다 감내하는 그런 마음 가짐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그래도 이 세상 어딘가 과연 이 곳이 이 풍경이 지구가 맞을까... 외계는 아닐까 싶은 그런 곳을 경험하고 그 곳에서 올려다 본 밤하늘의... 지상의 불 빛에 감추어져 어려워진 별 찾기가 아니라 그 반대인 너무나 많디 많아 별 빛 가득한 그 하늘의 인공의 무언가를 찾을 수 없는 그런 곳에서 새로운 감동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전생에 무슨 일을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일까?
그런데 말이다...
나는 파미르 고원에서의 하룻 밤이 아닌 여러 날을 즐길 수 있을까...? 과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독후감입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