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소설

키드만
- 작성일
- 2021.9.14
소설 (상)
- 글쓴이
- 제임스 미치너 저
열린책들
2021.09월의 첫 번째
제임스 A.미치너 "소설(상)"
소설을 좋아한다.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작가에 따라 그려지는 방법,분위기가 다르고 그러기에 각각의 매력에 매료되어 그 이야기속에 들어가 있는 그 시간을 좋아한다.
이 '소설'이라는 소설은 내가 좋아하는 소설이라는 것이 탄생하게 되는 그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설명문처럼 상황을 설명하는 형식이었다면 아마 읽지 않았을 것이다.
애 책에서는 하나의 소설이 완성되기위해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이들이 주인공이다.
이야기를 창작해 내는 작가.
창작물을 캐치하고 그것을 다듬고 수정하며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을 하는 편집자.
더 많은 독자들에게 소설을 접하게 하기 위한 프로모션 이에전트
그리고 비평가와 독자..
이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들이 소설의 주인공이 되어 옴니버스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간다.
완성된 한 권의 소설책이 내 손에 들어와 읽히기까지 그리고 읽힌 후 그 소설이 생명력을 가지고 그 명성을 유지하기까지 각각의 영역에서 어떻게 그 과정이 이루어지는지 재미있게 알아갈 수 있는 '소설'이다.
(상)(하)로 나뉘어 있는데 (상)에서는 제일 중요한 역할인 작가 루카스 요더와 그와 가장 가까운 조력자인 편집자 이본 마멜에 대한 이야기이다
모든 일들이 그러하겠지만 창작이란 작업도 불현듯 영감을 가지고만 진행될 수 없는 꾸준한 작업이라는 것,반면에 편집은 객관화된 괴정도 있지만 나름대로의 감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성공을 거둔 작가들까지도 포함해서 모든 작가들이 원고가 완성된 이후 처하게 되는 가슴 조이는 상황이 떠오르기 시작했다. 완성된 원고는 형식적이나마 외부 전문가의 검열에 통과해야한다. 물론 나의 경우는 졸리코포 씨가 그 외부 전문가 격에 해당된다. 그런 다음 원고는 편집자에 의해 갈가리 찢기고 조각나는 운명에 처한다. 동시에 분쟁을 불러일으킬 만한 소재를 다루었다면 물론 법률가들의 손에 샅샅이 검토되어야 된다.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만한 부분이 있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그러고 나면 마지막으로 몇몇 단어 귀신들이 한 문장 한 문장,철자 하나까지도 빠뜨리지 않고 점검을 한다.(p. 24 ~ p. 25)'
'"어떤 책이 가치가 있다는 것은 누군가가 그 책의 장점을 발견해서 책을 구입하고 또 나중이 가서는 '이 작가가 다음번에는 무슨 책을 낼지 궁금한데'라도 말해야 되는 거 아니애요? 그게 바류 글쓰기고 또 출판이에요." (p. 70)'
'기술 발전이 작가들의 상상을 어떻게 처리하고 조합시키든 간에,또 그 이야기가 계속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사람들이 필요한 것이다. (p. 108)'
?
'글쓰기는 근본적으로 두뇌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영혼에서 발산되어 나오는 지적안 과정이었다. 그리고 글쓰기의 목표는 작가의 영혼이 독자의 영혼과 한데 교감하는 데 있었고,그 예술적 성취도는 독자의 영혼에 불을 붙일 수 있는 상징들을 얼마만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가 하는 능력에 있었다. 그 정도로 숭고한 야망도 없으면 그의 경멸거리도 되지 못했던 것이다. (p. 201)
#제임스A미치너 #소설(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TheNovel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