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책책

kkandol32
- 작성일
- 2023.12.22
아이의 감정
- 글쓴이
- 가브리엘레 프릭-베어 외 1명
북인어박스
아이들은 무언가를 사랑합니다. 나이와 상관없이 아이들은 사랑합니다. 마음을 열고 아이들을 바라보면, 그들의 사랑을 눈으로 보 수 있고 또 그걸 느낊 수 잇습니다. 갓난아이의 사랑은 또렷합니다, 눈을 뜨고 젖을 주는 엄마를 빤히 바라봅니다. (-17-)
사춘기라는 특수한 상황을 별개로 해도 소속감에는 분명한 특징이 있습니다. 소속감은 구체적인 감정인 경우가 드물다는 것입니다. 대개는 편안하고 행복하게 느껴지는 그런 느낌입니다. 하지만 소속감은 위협받거나 사라지려 할 때 그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쫒겨나거나 혹은 배신을 당할 때, 계속 무시당하거나 노력이나 수고에 대한 응답이 없을 때, 소속감은 깨지거나 사라집니다. (-34-)
하지만 부모가 드러내지 않고 억누르며 애써 감춘 슬픔과 고통이 아이에게는 다른 부담이 됩니다. 슬픔이라는 감정은 억눌러야 하고 ,고통은 표출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여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도 어른처럼 슬퍼할 수 있어야 합니다. (-76-)
수치감이 특히 복잡하고 나쁜 점은 처음에는 자연스러운 부끄러움으로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당사자는 이 두 가지를 서로 분리하거나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아이들에게 이 차이를 설명할 때,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언어와 예를 들어 설명하면 좋습니다. 처음에는 똑같이 느껴지던 자연스러운 부끄러움과 수치감은 어느 순간 매우 다른 결과를 만들어냅니다.수치감은 대개 뒤끝이 나쁘고 개운치 않습니다. 수치감이 반복되거나 광범위하게 퍼지면, 아이의 근간 자체가 흔들리게 됩니다. 그러면 아니는 부끄러움을 느끼는 경계를 유연하게 조절하는 능력을 잃게 됩니다.자연스러운 부끄러움조차 참을 수 없게 되고, 내밀한 영역의 경계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던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이 한순간 무너져 버리게 됩니다. (-84-)
책 『아이의 감정』에는 35가지 감정이 소개되고 있다. 사랑, 죄책감과 책임감, 소속감과 우정,자부심, 정의감과 공평함, 지루함,존재감, 배신감, 불신과 명예, 혐오감과 역겨움, 압박감과 해방감, 슬픔, 부끄러움, 창피함과 수치가므, 무력감, 화,분노, 거부감, 불평과 미움, 공황과 절망감, 놀라움, 감탄과 경악, 관심과 호기심, 열광과 열정, 그리움, 기쁨과 행복, 공감과 예민함, 외로움, 피로감, 시기와 질투심, 공허감, 자기 효능감, 상실감, 불안과 두려움, 보호와 안전감, 염려와 신뢰감, 무감정, 안정감,정체성, 자존감 이다.
이 35가지 감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용한다는 것은 건강한 자아 ,안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 준다는 의미다. 가정형편이 어렵거나, 부모가 없는 아이들에게는 이 35가지 감정을 배울 시간이 부족하다. 낯선 환경에서, 35가지 감정을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부모의 역할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혼하거나, 편부모 가정인 경우, 스스로 행복하지 안다고 생각하는 이들에게는 35가지 감정을 통해서, 나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도록 도와 주고 있으며, 책 한 권이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정상적인 가정이라 하더라도, 35가지 감정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이들이 거의 없다.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구별하지 못하는 가정이 많았다. 세대차이르 극복하지 못하고, 부모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알지 못하는 경우다. 공감하지 못하는 가정에서 성장한 아이들은 어른이 되어서,눈앞에 벌어지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해 공감하지 못허고,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럴 때, 사회성이 발달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아이들이 불평할때, 영화관에서, 떼를 쓸 때 , 아이는 내면속에 무언가 기뿐 나쁜 감정 씨앗이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지 않고, 억압하거아, 숨기려 한다. 세대 차이,어른과 아이의 차이가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타이밍을 잃어버리게 된다.
어떤 기득권을 유지하면서 살아온 이들은 치명적인 감정 결함이 있다.그들은 다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 중심적이다. 그들에게 슬픔과 아픔에 대해 공감력이 사라짐으로서, 눈앞에 어떤 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그 상황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기 힘들 수 있다. 아이가 부모에게 차마 말핟지 못하는 감정들을 부모가 제대로 캐치하게 된다면, 부모는 장신의 걀할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에 적절한 답을 제시하게 된다.그리고 부모와 아이는 서로 신뢰와 믿음이 쌓이게 된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