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mstbjd
- 작성일
- 2024.1.25
퍼펙트 게스 (Perfect Guess)
- 글쓴이
- 이인아 저
21세기북스
뇌과학 분야의 서적은 찾아서 읽고있는편이다. 뇌과학, 특히 뇌인지과학의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은데에 그 이유가있다. 새로운 분야의 지식을 알게 되는 일은 언제나 기쁨을 느끼게 한다. AI의 발달로 오히려 인간의 뇌, 그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정신과 마음, 인지기능 전체를 아우르는 뇌과학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퍼펙트 게스』는 뇌인지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도 권위 있는 과학자인 저자가 최적의 뇌를 만드는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책의 첫장을 읽을때 '맥락'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흔히 문해력을 말할 때 등장하는 소재의 등장에 갸우뚱 했다. 맥락의 등장에 다소 난해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학생들을 가르치고 대중 강연의 선봉에 서있는 저자의 필력 덕에 이해가 가지않아 다시 되돌아서 반복해 읽는 불상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맥락과 뇌인지과학의 연관성에 대해 알게 되며 나지막이 탄식을 내뱉는다. 맥락은 경험에 의해 형성되고 나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의 뇌는 수많은 맥락에 의존해 정보를 처리하고 있는것이다. 그 맥락의 힘을 이용해 애매한 정보에서 완벽한 추론을 통해 삶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우리의 뇌가 맥락정보를 필요로 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생존의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애매한 정보 속에서 헤매지 않고 빠른 판단으로 즉각적인 행동을 통해 우리는 여러 위험요소로부터 살아 남을 수 있다. 그 실례는 우리가 느끼는 감정을 들 수 있다. 감정이 없는 경우 우리의 생존 가능성은 희박해진다. 어떤 대상을 마주했을 때 그 대상에 접근 할 것인지 회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학습과 경험에 의한 기억, 그 기억과 연합되어 있는 맥락 정보가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즉각적인 회피를 통해 위험요소로부터 멀어질 수 있고 이는 곧 생존확률을 높이게 된다. 인간이 감정을 느끼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변화에 보다 빠른 대응이 가능한것이다. 책의 마지막 장은 인간의 생존에 꼭 필요한 맥락을 설계하는 탁월한 설계자들을 소개한다. 숲을 보고 큰 맥락을 읽는 사람이 되라고 조언한다. 숲을 볼 수 있는 시야를 갖는다는 것은 많은 경험을 쌓는것을 전제로 둔다. AI가 인간의 자리를 넘보고 있는 시대에도 뇌인지과학의 영역에서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가 존재한다고 우리를 응원한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