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두부붑
- 작성일
- 2024.3.14
[eBook] 한국 병합
- 글쓴이
- 모리 마유코 저
열린책들
조선이 어떻게 일본에 점령을 받게 되었는지 조선, 대한제국의 입장에서 기술한책이다. 이 책을 읽기전까지 일본이 한국을 병합할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지 못했다.
일반 시민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시간의 순서로 설명하였다. 그 사건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설명을 하여서그때당시의 상황이 어땠는지 각국의 입장이 어떠했는지 알수있었다. 조선이 청의 속국인 것을 끊고 자주독립국인 것을 주장한 내막이 미래의 병합을 위한 한 과정이었다는 것, 고종이 일본과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본인의 권력을 지키기위해서 우유부단한 정책기조를 유지한 것, 개화파들과 고종과의 마찰, 초기의 친일파들도 내부에서 의견이 달랐다는 것 등 역사교과서에서는 배우지 못한 것들을 알 수 있다.
일본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조약이 지금까지 국제법을 어겼는지에 대해서도 활발히 연구 중에 있다. 대한민국의 사료가 부족하다는 사실은 연구하는 학자들에게는 손해가 아닐 수가 없다.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일본의 한국병합이 식민지배의 시절이고 일본을 싫어할 수 밖에 없도록 하는 것 같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그런 악감정만 가지고만 있으면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없고 교훈도 없을 것이다. 왜 조선왕조가 망해갔는지와 대한제국이 일본에 합병을 당하게 됐는지 이 책을 읽어보면 왕조의 욕심(고종의 황제칭호사용 및 재정 사유화)과 국력의 쇠퇴가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라고 나는 생각한다.
또한, 대한제국이 서양과 조약을 맺었지만 서양의 본인 이권과 일본의 이권이 서로 일치하여 서양간의 동맹과 조약을 맺음을 통해서 대한제국의 중립국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것은 국제정치가 얼마나 냉정한지 다시 힌번 역사를 통해 느끼게된다.
일반 시민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시간의 순서로 설명하였다. 그 사건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설명을 하여서그때당시의 상황이 어땠는지 각국의 입장이 어떠했는지 알수있었다. 조선이 청의 속국인 것을 끊고 자주독립국인 것을 주장한 내막이 미래의 병합을 위한 한 과정이었다는 것, 고종이 일본과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본인의 권력을 지키기위해서 우유부단한 정책기조를 유지한 것, 개화파들과 고종과의 마찰, 초기의 친일파들도 내부에서 의견이 달랐다는 것 등 역사교과서에서는 배우지 못한 것들을 알 수 있다.
일본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조약이 지금까지 국제법을 어겼는지에 대해서도 활발히 연구 중에 있다. 대한민국의 사료가 부족하다는 사실은 연구하는 학자들에게는 손해가 아닐 수가 없다.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일본의 한국병합이 식민지배의 시절이고 일본을 싫어할 수 밖에 없도록 하는 것 같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그런 악감정만 가지고만 있으면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없고 교훈도 없을 것이다. 왜 조선왕조가 망해갔는지와 대한제국이 일본에 합병을 당하게 됐는지 이 책을 읽어보면 왕조의 욕심(고종의 황제칭호사용 및 재정 사유화)과 국력의 쇠퇴가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라고 나는 생각한다.
또한, 대한제국이 서양과 조약을 맺었지만 서양의 본인 이권과 일본의 이권이 서로 일치하여 서양간의 동맹과 조약을 맺음을 통해서 대한제국의 중립국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것은 국제정치가 얼마나 냉정한지 다시 힌번 역사를 통해 느끼게된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