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웃보
- 작성일
- 2024.6.24
스타벅스 웨이
- 글쓴이
- 조셉 미첼리 저
현대지성
숙제로 읽게 된 책이다.
과연 어떤 가치관을 따라 회사를 운영해야 하는가?
고객이 다시 스타벅스를 찾게 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스타벅스에서 음료를 마시는 경험을 했을 때
행복감을 느껴야 한다. 그래야 다시 찾아온다.
또한 직원들의 일관성이 필요하다.
그래서 교육이 중요하다.
오늘 직원이 기분이 나빠서 고객에게 불친절하게 했다면
그 경험은 고객이 스타벅스를 다시 찾지 않게 되는 경험이 될 수 있다.
일관성도 필요하지만 또한 혁신과 진화가 필요하다.
매일 같은 맛이라면 언젠가 질릴 수 있다.
혹은 아메리카노만 판다면 힘들 수 있다.
그래서 더 나은 맛을 찾아 연구해야 한다.
그러면서 스타벅스의 색을 잃지 말아야 한다.
스타벅스는 이제 가벼운 샌드위치나 샐러드도 판다.
커피를 마시며, 가끔 우리가 급하거나 가볍게 끼니를 해결해야 할 때
스타벅스를 들러 빨리 먹고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현지화를 추구해야 한다.
지역마다 색이 다르기 때문에 스타벅스의 색을 잃지 않으면서도
또 현지의 사람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예전에 인도에 갔을 때 놀랐던 것이 있었다.
피자헛에서 카레 맛이 났었다.
입구에서부터 카레 향이 났었다.
그게 재미있는 경험이기도 했지만
인도에서 내내 먹었던 카레 맛이 피자에도 나니
약간 먹기 싫기도 했다.
지금도 인도의 피자헛이 이런지는 모르겠지만 참 신기한 경험이었다.
이 양날의 검을 잘 활용해야 한다.
이것이 마지막 나의 숙제다. 이 양날의 검을 어떻게 적용하는가?
과연 어떤 가치관을 따라 회사를 운영해야 하는가?
고객이 다시 스타벅스를 찾게 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스타벅스에서 음료를 마시는 경험을 했을 때
행복감을 느껴야 한다. 그래야 다시 찾아온다.
또한 직원들의 일관성이 필요하다.
그래서 교육이 중요하다.
오늘 직원이 기분이 나빠서 고객에게 불친절하게 했다면
그 경험은 고객이 스타벅스를 다시 찾지 않게 되는 경험이 될 수 있다.
일관성도 필요하지만 또한 혁신과 진화가 필요하다.
매일 같은 맛이라면 언젠가 질릴 수 있다.
혹은 아메리카노만 판다면 힘들 수 있다.
그래서 더 나은 맛을 찾아 연구해야 한다.
그러면서 스타벅스의 색을 잃지 말아야 한다.
스타벅스는 이제 가벼운 샌드위치나 샐러드도 판다.
커피를 마시며, 가끔 우리가 급하거나 가볍게 끼니를 해결해야 할 때
스타벅스를 들러 빨리 먹고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현지화를 추구해야 한다.
지역마다 색이 다르기 때문에 스타벅스의 색을 잃지 않으면서도
또 현지의 사람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예전에 인도에 갔을 때 놀랐던 것이 있었다.
피자헛에서 카레 맛이 났었다.
입구에서부터 카레 향이 났었다.
그게 재미있는 경험이기도 했지만
인도에서 내내 먹었던 카레 맛이 피자에도 나니
약간 먹기 싫기도 했다.
지금도 인도의 피자헛이 이런지는 모르겠지만 참 신기한 경험이었다.
이 양날의 검을 잘 활용해야 한다.
이것이 마지막 나의 숙제다. 이 양날의 검을 어떻게 적용하는가?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