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aura00
- 작성일
- 2025.1.27
패션 3.0, 내일을 위한 어제와의 대화
- 글쓴이
- 민은선 저
라온북
나는 나를 소개할때 "I have passion for fashion"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하곤 한다. 어려서 독일의 슈피겔 홈쇼핑 카탈로그를 보면서 자랐고 동대문 시장에서 Vogue를, 정은도서의 Collection을 몇십권 사다놓고 디자이너 이름과 패션을 외웠고 93년 NYC 브라이언트 파크 Tent show를 밖에서 모니터로 보면서 언제나 패션Scene에 낄 수 있을까, 꿈꿨던 20대 시절, 패션학도였던 나는 패션에 흠뻑 빠져있었다.
WWD를 읽고, 영어공부는 패션 책으로 했던 내가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있다. 미국에 수잔 멘키스, Valerie steel이 있다면 한국에는 민은선 사장이 있다.
패션사에 책이 그리 많지 않다. 패션기자가 쓴 역사책은 "Fashion conspiracy (니콜라스 콜리지)", "Deluxe (어떻게 럭셔리가 빛을 잃었나(데이나 토마스)", "The end of fashion(테리 애긴스)", "Vogue (수지 멘키스)" 등 몇권의 굵직한 책 말고는 거의 본적이 없다. 복식학자 발레리 스틸의 "Paris fashion"이나 엘리자베스 윌슨의 "Adorned in dreams", delong의 "복식을 보는 시각"이라는 감동적 저서도 있지만 기자가 쓴 패션책은 영어책도 거의 없고 특히, 한국에서는 찾기 어려웠다.
이제 한국에도 드디어 한권이 나왔다. 평생을 패션기자로 엮임한 공력이 그대로 드러난 책, "패션 3.0 "은 50년의 크로니클(패션사)를 담았다.
책이 재밌다. 한숨에 읽어질 만큼 흡입력 있게 50년의 패션사를 비디오 보듯이 담아냈다. 스마트한 짧은 문장, 운율감 있는 수사는 인위적인 주의력, 애쓸 필요없이 뇌를 활성화시킨다. 과거를 추억하면서 패션사의 면면을 살펴 볼 수 있다.
평생을 치열하게 패션계의 한복판에서 겪으신 구력이 책 한권에 오롯이 담겨있다. 아! 진짜 많은 것을 담으셨다.
읽어보시라. 패션은 재미있고 "Tantalizing desire"라는 엘리자베스 윌슨의 말이 그대로 느껴질 것이다. 중간중간 모르는 브랜드는 검색해 보았다. 패션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패션이 남의 것이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모두 이번 기회에 패션writing의 즐거움을 느껴보시길 바란다.
의식주의 '의'가 맨처음에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아시게 될지도 모르겠다.
WWD를 읽고, 영어공부는 패션 책으로 했던 내가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있다. 미국에 수잔 멘키스, Valerie steel이 있다면 한국에는 민은선 사장이 있다.
패션사에 책이 그리 많지 않다. 패션기자가 쓴 역사책은 "Fashion conspiracy (니콜라스 콜리지)", "Deluxe (어떻게 럭셔리가 빛을 잃었나(데이나 토마스)", "The end of fashion(테리 애긴스)", "Vogue (수지 멘키스)" 등 몇권의 굵직한 책 말고는 거의 본적이 없다. 복식학자 발레리 스틸의 "Paris fashion"이나 엘리자베스 윌슨의 "Adorned in dreams", delong의 "복식을 보는 시각"이라는 감동적 저서도 있지만 기자가 쓴 패션책은 영어책도 거의 없고 특히, 한국에서는 찾기 어려웠다.
이제 한국에도 드디어 한권이 나왔다. 평생을 패션기자로 엮임한 공력이 그대로 드러난 책, "패션 3.0 "은 50년의 크로니클(패션사)를 담았다.
책이 재밌다. 한숨에 읽어질 만큼 흡입력 있게 50년의 패션사를 비디오 보듯이 담아냈다. 스마트한 짧은 문장, 운율감 있는 수사는 인위적인 주의력, 애쓸 필요없이 뇌를 활성화시킨다. 과거를 추억하면서 패션사의 면면을 살펴 볼 수 있다.
평생을 치열하게 패션계의 한복판에서 겪으신 구력이 책 한권에 오롯이 담겨있다. 아! 진짜 많은 것을 담으셨다.
읽어보시라. 패션은 재미있고 "Tantalizing desire"라는 엘리자베스 윌슨의 말이 그대로 느껴질 것이다. 중간중간 모르는 브랜드는 검색해 보았다. 패션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패션이 남의 것이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모두 이번 기회에 패션writing의 즐거움을 느껴보시길 바란다.
의식주의 '의'가 맨처음에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아시게 될지도 모르겠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