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lackysis
- 작성일
- 2025.3.24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건축전 도록 (복각판)
- 글쓴이
- 스튜디오 지브리 저
학산문화사(단행본)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애니메이션을 볼 때에는 배경은 그냥 지나가는 하나의 장면으로만 인식한다.
그 배경이 이 애니메이션에서 어떤 배경에서 탄생했고, 어떤 사실적 관계가 있는 지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 일 것이다.
이렇게 인식하는 이유는 메인 스토리의 하나의 들러리라는 인식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만든 작품들은 배경 조차도 그냥 만들지 않았다는 점을 이 책에서 보여준다.
각 애니메이션에서 만들어진 배경에는 시대적 상황과 지역적 상황이 고려되어졌고 어느 지역의 어떤 시대적 배경하에서 만들어졌는지를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다.
가령 토토로에서 나오는 주인공 식구들이 머물던 시골집은 특이하게도 일부는 일본식 시골집에 조그마한 서양식 건물이 한칸 붙어 있는 형태인데, 이는 1920년대 이후인 쇼와시대의 중류계급인 샐러리맨들에게 보급되던 형태라는 설명이다.
또 하나의 예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알자스 지방의 하프팀버 방식의 건축물이고 알자스지방이 하프팀버를 사용하게 된 이유와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이 나온다.
이 서적을 보고 나면 마치 박물관에서 사전 정보 없이 가면 별로 볼 꺼 없던 작품들이 누군가의 설명을 들으면 이야기가 풍부해지는 것처럼, 애니메이션에서 이야기가 없을 것 같던 배경화면들이 이야기를 잔뜩 품은 또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주는 듯한 느낌이 들어 너무 마음에 들었다.
그 배경이 이 애니메이션에서 어떤 배경에서 탄생했고, 어떤 사실적 관계가 있는 지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 일 것이다.
이렇게 인식하는 이유는 메인 스토리의 하나의 들러리라는 인식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만든 작품들은 배경 조차도 그냥 만들지 않았다는 점을 이 책에서 보여준다.
각 애니메이션에서 만들어진 배경에는 시대적 상황과 지역적 상황이 고려되어졌고 어느 지역의 어떤 시대적 배경하에서 만들어졌는지를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다.
가령 토토로에서 나오는 주인공 식구들이 머물던 시골집은 특이하게도 일부는 일본식 시골집에 조그마한 서양식 건물이 한칸 붙어 있는 형태인데, 이는 1920년대 이후인 쇼와시대의 중류계급인 샐러리맨들에게 보급되던 형태라는 설명이다.
또 하나의 예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알자스 지방의 하프팀버 방식의 건축물이고 알자스지방이 하프팀버를 사용하게 된 이유와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이 나온다.
이 서적을 보고 나면 마치 박물관에서 사전 정보 없이 가면 별로 볼 꺼 없던 작품들이 누군가의 설명을 들으면 이야기가 풍부해지는 것처럼, 애니메이션에서 이야기가 없을 것 같던 배경화면들이 이야기를 잔뜩 품은 또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주는 듯한 느낌이 들어 너무 마음에 들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