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Lian
- 작성일
- 2025.4.4
무료 주차장 찾기
- 글쓴이
- 오한기 저
작가정신
오한기 작가의 연작 소설집, <무료 주차장 찾기>. 이 책은 작가 '오한기'의 서브 직업 에피소드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근데 이제 소설과 에세이의 중간인. 도입에 나오는 김화진 작가의 발문이 압권이다.
"나는 이제 오한기를 믿지 않기로 했다."
이 책의 완벽한 발문이다. 독자들로 하여금 물음표를 가지게 하고 '오한기'라는 인물과 <무료 주차장 찾기>라는 책에 단숨에 빠져들게 만든다. 소설이라면 소설이고, 에세이라면 에세이인 작가의 글 특징을 아주 잘 보여주고 있다.ㅎㅎ
<무료 주차장 찾기>는 작가 '오한기'의 서브 직업들을 보여준다. 그는 알바 등 갖가지 부업을 하면서 살아간다. 뭔가 좀 안 풀리지만 그래도 어찌저찌 살아가는 모습이 웃프기도 하고 공감 가기도 한다.
@ 무료 주차장 찾으러 갑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업은 '육아', 인상 깊었던 문장은 제목인 '무료 주차장 찾기'다. 그는 낮에는 주동을 키우고 밤에는 소설을 쓴다. 주동을 돌보는 도중, 유치원 버스가 무료 주차장을 찾아 떠난다. 무료 주차장을 찾아 떠난다니 그게 무슨 말일까. 유치원 버스는 사라졌다.
사람들의 입에서는 온갖 말이 오르내리지만, 버스가 그렇게 떠난 이유를 시간이 지난 후 알아차린다. 정규직 전환이라는 조건을 걸고 유치원 원장이 기사에게 유료 주차장료를 내라고 했던 것. 기사에게 무료 주차장은 어디였을까. 정말 '무료 주차장', 그 이상의 곳이었을 무료 주차장. 기사는 자신이 존중 받고 사람 대우를 받을 그곳으로 사라졌다.
그래, 이 소설은 능청스럽다. 재미있지만 묵직하게 어딘가를 울린다. 그렇게 사회의 이면을 거부감 없이 꼬집는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그 깨부술 수 없는 위계와 틀을 위트 있게 표현한다. 냅다 무료 주차장을 찾아 떠난다며 사라진 버스가 그 예시다. 그러나 본질은 놓치지 않는다. 오한기 작가의 글에서 고전미가 느껴진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다. 풍자와 해학, 같은.
어쩌면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현실. 그의 소설이 소설과 에세이 중간인 이유도 이것 아닐까.
"나는 이제 오한기를 믿지 않기로 했다."
이 책의 완벽한 발문이다. 독자들로 하여금 물음표를 가지게 하고 '오한기'라는 인물과 <무료 주차장 찾기>라는 책에 단숨에 빠져들게 만든다. 소설이라면 소설이고, 에세이라면 에세이인 작가의 글 특징을 아주 잘 보여주고 있다.ㅎㅎ
<무료 주차장 찾기>는 작가 '오한기'의 서브 직업들을 보여준다. 그는 알바 등 갖가지 부업을 하면서 살아간다. 뭔가 좀 안 풀리지만 그래도 어찌저찌 살아가는 모습이 웃프기도 하고 공감 가기도 한다.
@ 무료 주차장 찾으러 갑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업은 '육아', 인상 깊었던 문장은 제목인 '무료 주차장 찾기'다. 그는 낮에는 주동을 키우고 밤에는 소설을 쓴다. 주동을 돌보는 도중, 유치원 버스가 무료 주차장을 찾아 떠난다. 무료 주차장을 찾아 떠난다니 그게 무슨 말일까. 유치원 버스는 사라졌다.
사람들의 입에서는 온갖 말이 오르내리지만, 버스가 그렇게 떠난 이유를 시간이 지난 후 알아차린다. 정규직 전환이라는 조건을 걸고 유치원 원장이 기사에게 유료 주차장료를 내라고 했던 것. 기사에게 무료 주차장은 어디였을까. 정말 '무료 주차장', 그 이상의 곳이었을 무료 주차장. 기사는 자신이 존중 받고 사람 대우를 받을 그곳으로 사라졌다.
그래, 이 소설은 능청스럽다. 재미있지만 묵직하게 어딘가를 울린다. 그렇게 사회의 이면을 거부감 없이 꼬집는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그 깨부술 수 없는 위계와 틀을 위트 있게 표현한다. 냅다 무료 주차장을 찾아 떠난다며 사라진 버스가 그 예시다. 그러나 본질은 놓치지 않는다. 오한기 작가의 글에서 고전미가 느껴진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다. 풍자와 해학, 같은.
어쩌면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현실. 그의 소설이 소설과 에세이 중간인 이유도 이것 아닐까.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