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아는 정보들

목연공식계정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1.3.28
3월 23일에 네이버 지식인에서 이런 문답을 나누었습니다.
지식인에서 제 답변 채택률은 85.3%입니다.
100개의 답변 중에서 85개는 채택이 되었다는 의미이지요.
그러나 가끔은 저보다 더 훌륭한 답변을 보면서 감탄을 할 때도 있습니다.
다음 문답은 제가 한 답변이 부끄럽다가고 느꼈던 경우입니다.
질문자는 다른 답변을 채택했지만,
저도 그 답변이 제것보다 훌륭함을 인정합니다.
---------------------
질문 : "어라, 그게 아니라요. " 처럼
"어라?" 하고 쓰이는 감탄사라해야하나,
아무튼 '어라'는 존댓말과 같이 사용할 수 없는 말인가요?
개인적으로 어라? 라는 말은 존댓말도 비존댓말도 아닌
그냥 다 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말인 줄 알았는데,
아니라고 하시는 분이 계셔서 한번 올려봅니다.
나의 답변 : 일반적으로 놀람을 뜻하는 감탄사는
'아, 어머나, 아이쿠, 저런 등'이 있습니다.
놀라운 일이 있을 때 그와 같은 감탄사를 썼다면
상대도 통상적인 일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갈 것입니다.
그러나 "어라!"는 단순히 놀람을 나타내는 감탄사가 아닙니다.
이런 의미가 포함될 때도 많습니다.
"네가 하는 것이 원칙에 어긋나다. "
"한 번 혼이 나야겠구나."
"네가 하는 행동이 건방지다."
님이 그런 뜻으로 말을 하지 않고,
단순한 감탄사였다고 해도 상대가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어라'는 윗사람에게 경어와 함께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자료 출처 :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채택된 답변 : 어라는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일본어 あら(아라)는 '어머'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아라'가 한국에 와서 '어라'가 된 것입니다.
질문자님이 올려주신 "어라, 그게 아니라요.." 역시
"어머, 그게 아니라요.."라는 뜻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괜히 '표준'국어대사전이 아닙니다.)에 있는 표제어의
'어라'는 '어머'라는 뜻을 등재하지 않고
'천천히 먹어라.', '딱하고 가엾어라.' 등 종결어미로
쓰이는 '어라'만을 등재하고 있습니다.
즉, 굳이 따지자면 '어머'라는 뜻을 나타내는 '어라'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또한 '어머'라는 뜻의 '어라'는 존댓말과 반말로 둘 다 쓰일 수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어머'의 예문으로
'어머, 왜 그런 말씀을 하세요?'가 올려져 있습니다.
'어머'가 존댓말, 반말에 모두 쓰일 수 있으므로
'어라' 역시 존댓말과 반말에 모두 쓰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일본어에서 온
'어라' 대신 '어머'를 쓰는 것이 가장 현명한 언어생활이겠지요.
도움이 되었나요 ^^
* 질문자 인사 :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풀렸어요 ㅠㅠ
저도 '어머'정도의 의미지만 솔직히 표준어로 등재된 말들을 사용하기가
영 이질감이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네요.
그래서 어라를 사용했다가
그건 윗사람에게 쓰는 말이 아니라고해서 당황했습니다,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
- 좋아요
- 6
- 댓글
- 2
- 작성일
-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