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딘그리움
  1. 책장 속의 책들

이미지

도서명 표기
고혈압, 약을 버리고 밥을 바꿔라
글쓴이
황성수 저
페가수스
평균
별점8.1 (14)
더딘그리움
이 책을 쓴 황성수 박사는 책보다는 TV로 더 유명해진 분이다. 약물을 쓰지 않고 현미밥 식단만으로 고혈압을 낫게 한다는 다큐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한 동안 이슈가 되어 현미밥 관련 책도 쓰고 하시면서, '약없는 치료'를 줄곧 주장하시는 분이다. 내가 이 책을 사서 본 이유는 내가 고혈압에 특별히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약을 쓰지 않고 병을 치료한다는 그의 방식에 관심이 가서이다. 하지만, 이 책에는 뜻하지 않게 많은 수확물이 곳곳에 있다. 


첫번째 문제제기 - 화재 경보가 울리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집에 누워서 티비를 보고 있는데 갑자기 화재 경보가 울렸다. 우리는 무엇을 할까? 물론 그 원인을 찾아서 최대한 빨리 그 원인을 제거하려고 할 것이다. 화재 경보는 그 다음에 꺼도 늦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저자가 고혈압이 '증상'인가 '병'인가를 구분하는 이유이다. '증상'이라는 말과 '병'이라는 말은 비슷한 말처럼 보이지만 분명한 선후관계가 있다. '증상'은 '병'이 사라지면 당연히 사라지는 것이지만, '병'은 '증상'만 없앤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두번째 문제 제기 -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서 우리 몸으로 보자면 불이 난 것은 '병'이고 화재경보가 울린 것은 '증상'이 나타난 것이다. 하지만 고혈압은 '병'이 아니라 '증상'이다. 

이건 또 무슨 말인가. 고혈압이 '병'이 아니라니.

우리 몸은 심장에서 나온 피가 몸 전체를 돌고 있다. 그 중에 절반 이상을 뇌와 콩팥이 가지고 가는데 이는 신진대사에 매우 중요한 원천이다. 그런데, 혈관에 찌꺼기가 쌓이면서 뇌와 콩팥에 피가 모자라게 된다. 이때 심장에서는 혈관이 좁아져서 도달하지 못한 피를 장기까지 도달하게 하기 위해 활동량을 늘린다. 그로 인해 고혈압이 생기게 되는 것인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좁아진 혈관으로 인해 피가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는  '병'이지, 혈압이 높아졌다는  '증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세번째 문제제기 - 평생 약을 먹는다는 것은 약을 먹어봤자 소용없다는 소리다.

고혈압 환자가 처음 약을 처방 받으면서 의사선생님께 듣는 말은 '고혈압 약은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합니다. 잠깐이라도 복용을 중단하면 큰 일 납니다.' 이다. 고혈압은 어쩔 수 없는 병이니까 그러려니 하고 우리는 생각해 왔지만 저자는 다르게 말한다.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는 말은 곧 약을 먹어봐야 아무 효과가 없다는 소리라는 거다.

혈관이 좁아져서 장기에 도달하는 피의 양이 줄어 들었고 그로 인해 더 많은 피를 도달시키기 위해서 혈압이 높아졌다. 그런데 혈압약을 먹게 되면 혈압은 당연히 내려가게 된다. 필요에 의해서 혈압이 높아졌는데, 인위적으로 혈압을 떨어 뜨린다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게 될까? 말할것도 없이 뇌와 콩팥에 피가 부족하게 된다. 그 말이 곧 혈압약이 왜 위험한가를 설명해 주는 것이다. 이뇨제를 써서 소변만 많이 배출해도 혈압은 내려간다. 하지만, 그로 인해 장기에 피가 모자란다면 그게 무슨 소용이 있는가?


네번째 문제제기 - 고혈압의 원인은 정말 모르는가?

고혈압이 왜 발생하는 지에 대해서 현재 확실하게 이유를 모르는 1차성 고혈압이 많다. 이에 대해 저자는 고혈압은 동맥경화증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확실하게 말한다. 곧, 동물성 음식으로 인해 혈관에 노폐물이 쌓이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이는 곧 주요 장기에 혈액 부족을 가져온다. 심장은 더 빨리 뛰면서 혈압을 높이고 원하는 장기까지 피가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혈액량이 부족해서 생기는 병 치매, 파킨슨병, 만성신부전증,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은 모두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이 함께 가지고 있는 병들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동맥경화가 고혈압의 원인이라고 쉽게 믿지 않는 이유는 두 사건 사이의 시간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인과관계가 불명확 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당연히 고혈압이 생기려니 하지만, 사실은 나이가 들어서 혈관에 찌꺼기가 많이 쌓인 것이다.


다섯번째 문제제기 - 혈압약이 더 위험하다.

혈압약은 강압제라고 부르는데 이는 곧 혈압을 내리게 한다는 의미이다. 그 말은 위의 설명처럼 원인의 치료가 아니라 증상의 완화라는 의미이다. 강압제는 크게 세 가지의 방법으로 혈압을 내리는데, 첫째는 심장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둘째는 이뇨제 등으로 수분을 배출해서 혈액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고 세번째는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모두 혈압을 내리는 데는 효과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되지 못하는 것이다.

뇌혈관 사망원인별 분류를 보면 1984년 뇌출혈과 뇌경색의 비중이 8:2 정도였는데, 2004년에는 4.5:5.5로 역전이 되었다. 이 원인을 저자는 혈압약으로 보고 있다. 피떡이 생겨서 혈관을 막아버리는 경우가 뇌경색, 심근경색인데 이는 혈압이 낮아지면서 혈액이 쉽게 엉기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물살이 빠른 곳에서 침전물이 잘 생기지 않 듯, 혈압이 높을 경우 그나만 혈전(피떡)은 생기지 않지만 최근 강압제를 많이 사용하면서 이러한 경색이 많아진 것이다. 또한 강압제로 인해 피가 부족하게 되면서 치매, 파킨슨 병, 고혈압성 신장질환 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저자는 책 전반에 걸쳐 식생활의 개선을 촉구한다. 물론 그의 말대로 하는 것은 매우 따분하고 어려운 일이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동맥경화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한다. 책을 다 읽었더니 많이 알게 돼서는 좋지만 실천이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누구든 한 번쯤 꼭 읽어 봤으면 하는 마음에 간단히 나마 정리해 본다. 





좋아요
댓글
5
작성일
2023.04.26

댓글 5

  1. 대표사진

    하루

    작성일
    2011. 6. 16.

  2. 대표사진

    더딘그리움

    작성일
    2011. 6. 16.

    @하루

  3. 대표사진

    sunnydaler

    작성일
    2012. 3. 2.

  4. 대표사진

    더딘그리움

    작성일
    2012. 3. 2.

    @sunnydaler

  5. 대표사진

    bpliza23

    작성일
    2012. 6. 29.

더딘그리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2.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2.17
  2. 작성일
    2024.10.1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10.11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4.10.1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10.11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1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8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