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의 리뷰

lmk067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6.5.30
논술과 논설문의 차이를 아십니까?
매주 화요일이면 동네 도서관에서 수강하는 자녀논술지도 강좌에서 어제 수업한 내용입니다.
이가령 강사인데 논술관련 책까지 펴내신 전문가이시더군요. 경력도 화려하고...
어제는 논술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논술과 논설문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글의 갈래(종류)를 말할 때 논설문이라 하는데 오래전 국어시간에 배웠던 대로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쓴 글'을 말합니다. 즉, 논설문은 글의 소재를 자기의 삶에서 찾아 설득하기 위한 글이랍니다. 따라서,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성격의 글도 포함됩니다.
논술은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쓴 글을 말하는 것으로 시험으로 논설문을 쓰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주어진 지문이나 발문(질문을 문장으로 써놓은 것을 말함)에서 글의 소재(주장거리)를 찾아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는 글이라고 합니다. 즉, 객관성과 공정성을 판단근거로 합니다.
즉, 논술과 논설문은 전혀 다른 글이 아니며 흡사한 글로, 간단히 말하면 논술은 시험용 논설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논술을 잘 하려면, 1. 독해력 2. 문제해결력 3. 표현력이 있어야 합니다.
1. 제시된 지문이나 발문에서 주장할 내용을 찾아야 하므로, 글을 제대로 읽고 해석해야 합니다.
2. 자신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하기때문에 문제해결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3. 자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배경지식이 많은 사람은 그 만큼
쓸 소재가 풍부합니다. (스키마이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낱낱의 지식을 알고 있는 것보다 알고 있는 지식을 엮을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글쓰기는 생각이나 느낌보다 사실을 써야합니다.
글쓰기도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합니다.
1단계: 자신의 감상을 쓴다.
2단계: 자신이 겪은 일을 쓴다.
3단계: 자신이 겪은 일을 바탕으로 한 감상을 쓴다.
4단계: 자신이 겪은 일로 논리를 내세우는 글을 쓴다.
5단계: 문헌, 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논리를 내세우는 글을 쓴다.
이가령 강사는 다음과 같이 강조합니다.
- 많이 읽히기 보다는 제대로 읽혀야 합니다.
- 초등생은 아이 수준의 논제를 찾을 수 있고, 자료를 다루는 힘만 길러도 족하다고 합니다.
- 초등생에게는 서론, 본론, 결론의 글을 쓰게 하는 것보다는 우선적으로 본론을 제대로 쓰게
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 논술은 결국, 글쓰기라는 큰 범주에서, 논설문이라는 작은 범주에 포함되는 글인 것입니다.
참고로, 대학입시 논술에서는 논술적 자아인 '나'를 감추는 글이랍니다. 하지만, 초등생아이들에게는 '나'가 주체인 글을 쓰는 것이 당연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논술을 고려한다면, 신문에서 사설보다는 칼럼이 오히려 논술의 성격을 띠는 글입니다.
이가령 강사가 그러더군요.
현재, 대학에서 논술시험을 치루는 곳은 전체 대학 중에서 20여개 정도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논술을 치루는 대학이 결국 우리가 가고파하는 대학이므로 논술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논술이전에 공부를 잘해야 한답니다. 논술만 잘한다고 대학에 가는 것은 아니라고.... 일부, 논술만 잘하면 대학에 간다고 떠들어대는 광고를 빗대어 하신 말씀입니다.
정말 알찬 강의였습니다.
제가 강의내용을 제대로 전할 수만 있다면 좋으련만.....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많은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