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하게 살자!

고서(古書)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2.3.14
우리가 먹은 음식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인간) 활동을 하는데 쓰이는 에너지로 바뀌는가를 규명한 것으로, <한번 주의 깊게 살펴보면> (즐겁게 혹은 기쁘게 먹은) 음식이 참으로 복잡 미묘한 과정을 거쳐서 에너지로 변환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소화되고 흡수되어서는, 어떻게 에너지로 만들어지는가를 보여준다. 이들 영양소로부터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은, 아래 그림처럼 간단하지만은 않다. 아래 그림은 해당계 무기 호흡과정에서 포도당이 피루브산으로 전환된 이후의 ATP(에너지원)를 만드는 과정만을 나타내고 있다. 탄수화물로부터 나온 포도당 뿐만 아니라 다른 물질들도 TCA에 유입될 수 있다. 추후 조금더 상세하게 살펴보자.
왜 건강 공부를 하는데 이런 과학적 발견을 자세하게 살펴보느냐 하면, 이러한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어떤 요인들 때문에 생리작용이 원할하게 작동을 하지 않는가를 알게되며 이를 통해서 건강을 위해서 어어떻게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는가를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22:511
TCA회로 [-回路, TCA cycle]
[요약]
고등동물의 생체 내에서 피루브산의 산화를 통해 에너지원인 ATP를 생산하는 과정을 갖는 트라이카복시산회로의 약칭이다.
[본문] 생체 내에서 탄수화물·지방·단백질의 대사 생성물은 마지막에는 피루브산이 되어 이 회로에 들어가 완전 산화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된다. 크렙스가 발견하였으므로 크렙스회로라고도 하며, 또 시트르산의 합성으로 이 회로가 시작되기 때문에 시트르산회로(구연산회로)라고도 한다.
피루브산은 먼저 탈탄산효소에 의하여 활성아세트산을 생성하며 이것과 옥살아세트산으로부터 시트르산이 합성됨으로써 TCA회로로 들어간다. 시트르산은 화합물을 거쳐 다시 옥살아세트산이 된다. 피루브산 1분자에서 시작되어 TCA회로가 1회 순환하기까지 3군데에서 산화적 탈카복시반응이 일어나고, 3분자의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또 4군데에 FAD(조효소 I) 또는 NAD와 함께 일어나는 산화단계(산화적 탈카복시반응을 포함한다)가 있고 합계 2.5분자의 산소가 환원되어 5분자의 물이 생성된다. 이때 산화적 인산화반응이 일어나 합계 15분자의 ATP(아데노신3인산)가 생성된다. 생성된 물 중에서 3분자는 피루브산의 산화에 사용된다. ![]() TCA회로의 존재 의의는 피루브산을 산화하는 과정에서 산화적 인산화반응과 짝을 이루어 고등동물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원인 ATP를 생산하는 데 있다. 탄수화물 이외의 영양소인 지질(脂質)은 아세틸 CoA로부터, 단백질은 글루탐산으로부터 α-케토글루타르산을 거쳐 TCA회로로 들어간다. TCA회로는 동물의 호흡을 행하는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고등식물에서도 작용하고 있으며 효모·곰팡이 등의 미생물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12. 3. 14. 22:51
참 건강원리를 공부하는
고서 김선욱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