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현지 A to Z

sisachina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3.1.17
중국의 전통의학 '중의학(中医学)'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안녕하세요. Little C 대학생기자단 최유비입니다. 요즘 손도 시리고 발도 시리고 날씨 참 춥죠? 요즘처럼 날씨가 추울 땐 면역력이 약한 분들은 쉽게 감기에 걸릴 수 있는데요! 여러분은 감기에 걸렸거나 몸이 아플 때 어디에 가시나요? 보통은 몸이 아프면 하얀 가운을 입은 의사 선생님이 계신 병원으로 가 진찰을 받은 후 약국에서 알약을 타서 먹죠~ 그런데 여러분 중 혹시 몸이 아프면 한의원을 찾는 분도 있으신가요? 보통 몸이 허하면 부모님께서 한약을 지어다 주시거나 침을 맞으러 가기도 하지요. 우리는 한의학이라 부르는 이 개념이 중국에선 중의학이라 부른답니다. 중국의 전통 의학인 중의학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이 있는지 더불어 마취술과 침구술에 대해 궁금해요? 궁금하면 500원~^^ 그럼 함께 중국 중의학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읽기 전 손가락을 눌러주는 센스!!>
(여러 한약재들, 출처: 바이두)
|
1. 중의학 ? 한의학 ? 무슨 차이점이 있을까?
'중의학' (中医学) 이란 바로 중국에서 수 천년 동안 전해 내려온 중국 고유의 전통의학을 부르는 말입니다. 우리나라에선 한의학이라는 개념이 중국에선 중의학이지요. 한국의 한의학과 중국의 중의학은 같은 듯 다른데요, 먼저 한의학에 대해서도 알아본 후 중의학과 한의학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내용: 위키백과 참조)
(중국에서 성황리에 방영 중인 한국 드라마 '신의'와 '제3병원', LETV, 소후TV)
최근 우리나라 드라마 중 중국 고대 명의 '화타' 라는 인물을 소재로 다룬 한국 드라마 '신의'와 한의학을 다룬 드라마 '제 3병원' 이 중국에서 방영되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신의'는 중국 동영상 업로드 사이트에서 방송되는 한국 드라마 중 압도적인 클릭 수 1위를 하였고, '제 3병원' 역시 한 동영상 업로드 사이트에서 한국 드라마 8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두 드라마가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끄는 한편 한 쪽에선 반한(反韩) 감정이 일고 있다고 해요. 그 이유인 즉 슨, 우선 '신의'에서는 "극 중 등장하는 '화타'는 한나라 시대의 사람인데 극 중에서 왜 한국의 고려시대에 등장하느냐" 등의 이유로 항의를 하고 있고요, '제3병원'에서는 "중국의 중의학을 왜 마음대로 한국의 한의학이라고 하느냐" 등의 이유로 항의를 하고 있다고 해요. 이에 대해 한 중국 전문가가 설명을 해주었는데, 앞의 화타에 대한 항의는 중국인들의 확대해석에 불가한 것이라고 하였고, 그 뒤의 중의학과 한의학에 대해서는 한국의 한의학은 중국의 중의학에서 파생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안의 '사상체질' 등의 차별적인 요소들이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한의학이라 명명하였다고 설명해 주었답니다. 이처럼 오해로 생긴 중국인들의 반한 감정이 얼른 사그러들었으면 좋겠어요~
(자료참조: 아시아 투데이,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19782)
|
2. 한약과 중의학의 전설 염제 신농씨 (神农氏)
(여러 가지 한약재들, 출처: 바이두)
|
2) 중의학의 전설 염제 신농씨 (炎帝 神农氏)
(중의학의 전설, 신농씨 (神农氏), 출처: 바이두)
|
3) 음양오행설, 사진(四診)과 팔강(八網)
의사선생님이 항상 차고 계시는 청진기도 없고, 여러 병들을 진찰하고 발견해내는 첨단 기계들도 없던 그 시절엔 어떻게 환자들의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였을까요?
이렇게 음양오행설을 기본원리로 삼은 뒤엔 실제로 진단을 하고 치료하는 방식이 있어야겠죠? 이것을 바로 사진(四診)과 팔강(八網)이라고 합니다. 사진(四診)은 망진望, 문진闻, 문진问, 절진切을 말하는데, 망진은 안색, 체격 등 환자의 외견을 보고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고, 문진(闻)은 환자의 호흡과 목소리, 입냄새 등을 통해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문진(问)은 환자의 자각증상과 생활환경과 습관, 과거에 걸렸던 질병 등을 묻고 판단하는 방법이며, 마지막으로 절진은 맥을 보거나, 배를 만져보는 방법으로 환자를 직접 만져보아 판단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팔강(八網)은 팔강변증이라고도 하는데 한의학에서 진단의 원칙이 되는 음(陰) ·양(陽) ·표(表) ·이(裏) ·한(寒) ·열(熱) ·허(虛) ·실(實)을 이르는 말입니다. 여기서 음양 ·표리 ·한열 ·허실 네 조(組)의 모순은 상대적이며, 상호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너무 어려운 개념이라 이쯤에서 슝슝슝~~^^
|
3. 중의학을 대표하는 책, 의서
1) 황제내경 黃帝內經
《황제내경 黃帝內經》은 기초 의학, 즉 생리(生理)와 병리를 적어놓은 대표적인 중국의학서입니다. 저자와 성립 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신화 속의 인물인 황제가 신하와 나눈 의학적인 대화를 기록하였다는 설이 있기도 하지만 전국시대 전한(前漢) 시대에 저술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 책은 음양오행설과 침구와 관련해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네요. 후대 중의학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책입니다.
( 황제내경, 출처: 바이두)
|
2) 본초강목 《本草纲目》
명나라 때인 1578년에 이시진이 편찬한 의약서적으로서 1892 종의 약재가 수록되어 있으며, 내부의 많은 처방들 중 8,000여 수의 처방은 모두 이시진이 직접 수집하거나 적은 거라고 합니다. 이 책은 방대한 과학적 자료를 종합하여, 당시 본초학의 오류를 수정하고 체계적인 약물 분류 방법을 제시했다고 전해집니다. 비슷한 시기에 출판된 허준의 <동의보감> 에 비견된다고 하네요.
(본초강목, 출처: 바이두)
|
3) 마취술과 마취술의 선구자 '화타 (華陀)'
우리가 수술을 받게 될 때는 몸에 마취를 하게 되죠. 만약 마취술이 없었다면 오늘 날의 그 모든 수술들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정말 생각만 해도 끔찍하지 않나요? 지금부터 마취술은 무엇이며, 마취술의 선구자는 누구인지 알아보도록 해요.
▶마취술의 선구자 '화타 (華陀)'
(마취술의 선구자 '화타 (華陀)', 출처: 바이두)
|
4. 침구술 鍼灸
침구술은 중국의 오래된 치료방법인 침법(鍼)과 구법(灸)을 의미합니다. 말이 어렵죠? 한마디로 침법은 침을 사용해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고, 구법은 뜸을 이용해 병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침법은 특별히 제작된 길이가 다른 금속침을 일정한 혈자리에 댄 뒤 환자의 몸 속으로 찌르고, 비비고, 뽑는 등의 수법으로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구법은 쑥을 일정한 혈자리에 놓고 피부 위나 피부 가까운 곳에서 태워 열의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따끔따끔 침 한번 맞고 나면 욱신욱신 쑤시던 몸이 풀린다고 하던데 저도 요즘 몸이 이곳저곳 쑤시는 지라 침구술을 꼭 받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네요~
(침구술, 출처: 바이두)
지금까지 중국의 전통 의학인 중의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중의학에 관해 가능한 많은 내용들을 다뤄보려고 해 봤는데 모두들 잘 읽어보셨나요?! 최근 중의학이 동양 의학을 넘어서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는 중이라고 해요. 세계 각 국에서 중의학과 한의학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배우며 서양 의학과 함께 적용하려고 부단히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의학에 대해 많이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런 치료를 받지 않기 위해 몸 관리를 잘 하는 게 제일 중요하겠죠?^^ 그럼 저는 다음 기사로 찾아뵙겠습니다.
|
재밌게 읽으셨다면 아래에 손가락을 꾸욱~ 눌러주세요 ^0^
불펌은 안돼요~!!
스크랩 시 덧글과 손가락은 필수입니다~:)
★ 중국,중국의 전통의학,중의학(中医学),염제 신농씨 (神农氏),한약,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음양오행설, 사진(四診), 팔강(八網),의서,황제내경 (黃帝內經),본초강목 (本草纲目),마취술,화타 (華陀),침구술 (鍼灸)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