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하
  1. 문학

이미지

도서명 표기
이반 일리치의 죽음
글쓴이
레프 톨스토이 저
문예출판사
평균
별점9.4 (31)
나하

  사람들은 톨스토이에게 '대문호'라는 수식어를 붙입니다. 아직 그의 소설을 많이 읽은 건 아니지만, 이번 소설을 읽으며 그가 정말 대문호라는 것에 동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죽음이라는 것을 이리도 잘 설명할 수 있는 이 소설은 최고였습니다.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죽어야 하는지 적절한 상황으로 설명했거든요.

  이 책은 톨스토이의 중편소설 세 편을 담았습니다. 죽음을 다룬 최고의 명작 <이반 일리치의 죽음>, 죄의 문제를 다룬 <악마>, 신앙의 문제를 다룬 <신부 세르게이>. 이 세 편의 소설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그런데 또 비슷한 주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주제들이 서로 연관되어, 한 권의 책으로 말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세 소설을 모두 읽고 나니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은 사유를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

  이 소설은 장례식 장면부터 시작합니다. 슬퍼해야 할 장례식이지만 왠지 사람들이 이상합니다. 이반 일리치의 지인들은 그의 죽음으로 인해 자신에게 돌아올 득을 계산합니다. 그가 죽었으니 그의 자리가 빌 테고, 자신이 승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은 그의 장례식 때문에 저녁에 카드게임을 못할까 봐 걱정합니다. 그리고 아내는 남편의 죽음으로 받게 될 연금을 계산합니다. 한 사람의 죽음이 이토록 계산적일 수 있을까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자연적으로 그의 죽음에 나를 대입했습니다. (묘비를 만들진 않겠지만) 내 묘비엔 어떤 글이 적힐까? 아내와 자식들은 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직장 동료들, 친구들, 지인들은 내 죽음에 어떤 감정을 가지게 될까? 저는 대체로 부정적인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도 이반 일리치처럼 살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그렇다고 절망적이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죽음 이후를 생각해본다는 것만으로도 저는 제대로 살고 있는 것일 테니까요.


  <악마>

  이 소설은 죄의 문제를 다룹니다. 그리고 독특하게 결말이 두 개입니다. 뭐, 두 결말 모두 불행으로 끝나지만, 암튼 두 개. 이 소설 주인공은 젊은 욕정을 참지 못하고 한 유부녀와 불륜을 저지릅니다. 아주 잠깐일 뿐이라고 생각하고 한 행동입니다. 하지만 결혼 후 오랜 시간이 지나고 그 유부녀가 그 앞에 나타납니다. 그러자 그는 과거가 떠오르고 다시 욕정이 살아납니다. 그리고 결말은 매우 잔혹합니다.

  '죄'에 대해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아, 박ㄹ혜는 제외입니다. 닭 수준의 지능인지 죄책감이 없는 것 같으니까요. 죄를 인식한다는 건 사람이 죄에 대한 근본적 해결을 할 능력이 없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성경에도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라고 말합니다. 예수는 '욕정을 품기만 해도 죄'라고 말합니다. 그렇다고 모두 벌을 받아야 할까요? 이 소설 속 주인공처럼 처참한 최후를 맞아야 할까요? 저는 이런 극단적 결말로 마무리한 톨스토이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 소설 때문입니다.


  <신부 세르게이>

  이 소설에도 죄의 문제가 매우 크게 다뤄집니다. 신부 세르게이는 현존하는 성자라는 칭호를 받는 성인입니다. 그는 나쁜 생각도 곧 죄라는 성경 말씀대로 끝도 없이 죄를 고백하고 고행을 합니다. 은둔자 생활을 하며 오직 기도와 수양에만 힘씁니다. 안타깝게도 매우 미남인 세르게이를 유혹하려는 여자도 많습니다. 한 번은 어느 여자가 유혹하려고 하자 도끼로 자신의 손가락을 자릅니다. 그렇게 해서라도 죄를 짓지 않으려 한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노인이 된 세르게이는 22살의 여자의 유혹에 결국 넘어가고 맙니다. 그 후로 그는 극단적 선택을 하려다 돌이키고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됩니다.

  이 소설을 읽으며 '아마도 톨스토이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일 것이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 소설과는 완전히 다른 결말을 보여줍니다. 성경은 행위로는 절대 구원받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오직 믿음으로 죄를 용서받는 것이며, 죄 사함은 공짜로 받는 선물이라고 합니다. 소설 속 세르게이는 자신이 고행하고 기도하고 무언가를 하면서 의인이 되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방랑하며 만난 파셴카가 진짜 하나님의 사람이었다는 걸 깨닫습니다. 파셴카는 기도도 자주 하지 못하고 생계 때문에, 여러 이유로 교회에도 자주 못 가는데도요.


  세 소설의 공통적인 주제는 뭘까요? 삶과 죽음입니다. 사람은 어떻게 살아아하는 것만큼이나 어떻게 죽어야 하는지도 중요합니다. <악마>에서처럼의 죽음이나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의 죽음보다는 <신부 세르게이>처럼 죽음을 준비하는 게 더 맞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람은 연약한 존재입니다. 죄도 많습니다. 죄의 유혹을 뿌리치기도 힘듭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절망하거나 좌절하거나 피하는 건 정답이 아닙니다. 맞닥뜨리고 이겨내는 삶이 바로 올바른 죽음을 준비하는 길이 아닐까요?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두목원숭이

    작성일
    2016. 12. 6.

  2. 대표사진

    나하

    작성일
    2016. 12. 6.

    @두목원숭이

나하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4.11.2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11.29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4.9.25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25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4.9.2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23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1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8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