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shjfish7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트라우마는 어떻게 유전되는가
글쓴이
마크 월린 저
심심
평균
별점8.4 (31)
shjfish7

트라우마는 어떻게 유전되는가.
예측컨대 성향이나 성격, 혹은 말그대로 트라우마, 즉 어떤 충격적 상황으로 인한 내적 상처가 유전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러니까 어떤 심리적 성향이 유전될 거라 예측했고, 기질적 측면은 어쩌면 유전으로 인한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생각과는 다르게 선대가 겪은 구체적 정황, 특정 정황이 후대에 똑같이 재현되고 있는 사례를 열거하고 있다.

선대는 직계의 가족일 수도 있고 삼촌이나 이모 할머니일 수도 있고 때로는 여러명일 수도 있다.

예를들면 삼촌이 스물 일곱에 동사했다고 하면, 본인이 스물일곱 되는 해에 갑자기 한기와 함께 불안감을 느껴 잠을 이루지 못하는 식이거나 선대중 낯선 장소의 가스실에 끌려가 학살을 당한 유대인이 있는데, 본인이 낯선곳에 가기만 하면 공황장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등이다.

치유 방법은 트라우마를 물려준 선조와 함께 마주하고 있다고 상상 하며 대화하는 방식이다.
그러니까 "이미지"와 "언어"가 키워드인 셈이다.
이미지와 언어의 힘은 비슷한 분야의 책에서 자주 거론되어 왔다.
테드 창의 소설에서도 언어가 가진 힘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돋보였었다.
형식적인 면에서 이 책에서는 좀 세련미가 떨어지는 방식이랄까,
어떤 면에서는 조금 거부감이나 어색함을 느끼게 만드는 방식인지도 모르겠다.
조상을 생각하며 (마주 앉아 있다고 상상하며)

'이건 당신이 원하는 내 삶의 방식이 아니지요. 이건 당신의 것이니 당신이 가져가세요. 그리고 지금은 편안하고 행복하시지요. 그리고 내가 평안히 살길 바라시지요.' 하는 식의 의식을 치르고 트라우마에서 놓여나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부모님이 겪은 트라우마가 재현되고 있다면 부모님을 찾아가 화해하라고 했다.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의 양육방식이 그들 나름의 최선이었을 거라고,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라는 거다.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는 타인과 관계맺기에서 아주 중요한 기반이 된다고 했다.
음...부분 부분 겪은 상처를 직면하게 되는 지점이 있고,

엄마된 입장에서 아이에게 저질렀던 상처가 될만 했던 행동이나 양육태도등을 돌아보게 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트라우마의 삶, 그것은 내것이 아니다.
내가 덫에 걸려 허우적 대는 것을 당연시 할 필요가 없다는 것.

이 사실만 인식해도 좀 홀가분한 마음이 드는 것 같지 않은가.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shjfish7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4.12.2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12.22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4.11.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11.17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4.10.2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10.27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7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40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23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