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낭만푸우
  1. Poetry

이미지

오늘은 1부 '기억이 사람을 만들기 시작했다'의 남은 시 일곱 편과 2부 '바보의 말을 탐구해보자'의 시 다섯 편을 읽었다.



 



어제도 그랬지만 오늘 읽은 시들도 어떤 시나 작품을 인용하거나, 그 작품에 기인해서 시작한 시들이 많다. 전반적으로 '리뷰' 혹은 '리라이팅'이라고 해도 무방할 성격의 시들이다.



 



오늘 읽은 시들 중에서는 「변신」이 가장 좋았는데, 아직 이 시집 전체를 다 읽어본 게 아니라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아마도 이 시집을 대표하는 시라고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그만큼 좋다. 이 시집 전반의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난 시이기도 하다.



 



1920년 7월 29일, 카프카는 55kg이었다고 한다. 눈을 감으면 어둠속에 희끗희끗 나타나는 것, 그것은 신장 182cm의 카프카가 밀레나에게 장문의 편지를 쓰려고 구부렸던 등뼈의 잔상이다. 이날 카프카는 밀레나에게 두 통의 편지를 썼는데, 그 두번째 편지에서 자신은 물리에 대해서는 그 어떤 것도 이해할 수 없었노라고 고백한다. '나는 세상의 저울을 이해 못 하겠소. 물론 그 저울도 나를 이해 못할 게 분명하오. 그렇게 거대한 저울이 55킬로그램밖에 안 되는 나를 가지고 도대체 무얼 할 수 있겠소. 아마도 내가 존재한다는 사실조차도 모를 거요' (p.57)



 



카프카가 밀레나에게 쓴 이 편지를 읽고 시를 쓴다면 어떤 시가 나올 수 있을까? 이 편지를 쓰는 카프카를 떠올리며 쓴 시는 어떤 형태일까. 그게 궁금하다면 「변신」이라는 김행숙의 시를 읽어봐야 한다.



단연코 최고의 시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무슨 심부름을 가는 길이니



김행숙 저

문학과지성사 | 2020년 07월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책읽는낭만푸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7.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7.3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7.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7.3
  3. 작성일
    2025.7.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7.3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47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25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254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