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웃보
  1. 예전에 쓴 글

이미지

도서명 표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글쓴이
사이먼 싱 저
영림카디널
평균
별점9.1 (92)
웃보

나는 어릴 적부터 수학을 굉장히 좋아했다.

뭔가 어려운 문제를 풀었을 때 

그 성취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좋았다.

단순히 공식에 대입하는 문제보다는 

문제를 여러 번 읽고 생각하면서 문제의 요지를 파악하고, 

한 가지 공식이 아닌 

여러 가지 공식을 써서 푸는 문제를 좋아했다.

그리고 교과과정에 있는 간단한 식이나 정리를 

내 손으로 증명할 때 엄청난 성취감을 느꼈다.

내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해서 처음 알게 된 것은

중학교 때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배울 때였던 것 같다.

선생님께서는 식은 굉장히 쉬운데 

증명하기는 굉장히 어렵다고 말씀하셨던 기억이 난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n이 3이상의 정수일 때 

방정식 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이다.

그때는 '정말 피타고라스의 정리처럼 간단한데

왜 증명하기가 어려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넘어갔다.

나는 그때 이 정리에 대해 별 다른 생각이 없었다.

단지 '누군가 이 정리를 증명할 것이고 

지금 내 실력으론 부족하지만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게 되면 알 수 있겠지.' 하고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 같다.

대학교에 와서 이 책을 읽으면서 이 페르마의 정리가

얼마나 멋지고 경이롭고 대단한 문제인지 알게 되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에서 발전된 이 문제는 정수론뿐만 아니라

많은 수학의 한 모음이었다. 

이 정리를 풀게 되는 과정 중에서 

오일러는 허수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통해 무한귀류법이 만들어지는 등

수학사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이 문제는 결국 모듈방정식과 타원방정식의 

연관성을 찾아서 그 고리를 연결하면 풀리는 문제였다.

이 연관성을 찾기 위해 앤드루 와일즈는 엄청나게 노력했다.

판이하게 다른 분야를 하나로 연관 짓는다는 것은 

두 학문데 대해 더 잘 알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통해 전혀 다른 분야가

하나로 통합되는 경지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나는 아직 모듈방정식에 대해서 모른다.

(아직 대학교 1학년 때였으므로)

타원방정식에 대한 나의 지식 또한 엄청 짧다.

하지만 두 분야를 하나로 합쳐서 증명해 낸 방법은

두 분야에 대해 잘 모르는 내가 생각해도 

정말 멋지고 굉장하다.

지금 내 눈에 누군가 그 증명을 보여줘도

나는 아직 이해는 못하겠지만 멋진 증명에 감탄할 것이다.

어린 시절 앤드루 와일즈는 우연히 도서관에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관한 책을 읽고, 그 문제를 풀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그리고 수학에 대해 배우면서

끊임없이 그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결국

여러 분야의 수학을 배워 그 문제를 푼 앤드루 와일즈는

정말 대단한 사람이다. 읽으면서 감탄의 박수가 

절로 나왔다. 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해 필요할 것 같은

수학적 이론을 하나씩 섭렵해 나가면서 결국

이 문제를 증명했을 때, 그 부분을 읽고 있던 나는 정말

내가 그 정리를 증명해 낸 것처럼 앤드루 와일즈의

감정에 이입이 되었고, '우와' 하는 말이 절로 나왔다.

특히 이 책에서 나오는

"이 쯤에서 끝내겠습니다."라고 말하는 부분은 

정말 압권이었다.

자신의 증명에 대해 많은 사람 앞에서 강연을 하고,

그 증명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자리에서 증명이 다 끝난 뒤

이 말을 하는 부분은 정말 대단한 느낌이었다.

비록 내가 그 강연장에는 없었지만, 있었으면 

탄성을 지르고 기립박수를 쳤을 것 같다.

그리고 이 책의 마지막에 인간이 증명하지 못한

4문제에 대한 증명을 컴퓨터가 증명하는 부분이 나온다.

비록 무한히 많은 종류의 지도를 

일일이 대입해서 증명한 것이지만, 인간이 하지 못한 것을

컴퓨터가 증명했다는 데에 엄청 놀랐다.

비록 그 문제가 단답형 같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같이

여러 이론을 활용해야 하는 문제는 아니었지만 

이제 컴퓨터의 성능도 무시 못할 수준에 와있는 것을 느꼈다.

'인간의 뇌의 발전 속도에 비해 컴퓨터의 발전 속도가 더 빠르다.

나중에 컴퓨터가 인간을 초월하는 경우가 있겠느냐?'

나는 이 질문에 대해 제대로 답을 못내리겠다.

하지만 앞으로 수많은 가능성과 공식을 컴퓨터가

일일이 대응하면서 증명하는 부분이 늘어날 것이고

그러면 수학의 많은 부분도 증명이 될 것이다.

그리고 지금 컴퓨터의 발전 속도를 볼 때 

인간을 뛰어넘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집요하게 노력하고, 경이적인 방법,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인간이라면, 그리고 그 문제를

풀기 위한, 발전시키기 위한 강한 동기가 있는 인간이라면

언제까지나 컴퓨터보다 더 뛰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하나의 문제로 많은 새로운 

수학적 개념이 생겨나고, 확장되는 것을 보면서 

수학이라는 학문이 멈춘 채로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23.04.26

댓글 1

  1. 대표사진

    初步

    작성일
    2020. 7. 13.

웃보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시간 전
  2. 작성일
    2025.5.1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9
  3. 작성일
    2025.5.1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8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5
    좋아요
    댓글
    193
    작성일
    2025.5.1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193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148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