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elf
  1. 歷史/人類學

이미지

도서명 표기
중국문명의 기원
글쓴이
신동준 저
인간사랑
평균
별점8.7 (3)
waterelf

중국문명의 원형(原型)


히 메소포타미아 문명, 인더스 문명, 황하(黃河) 문명, 이집트 문명을 세계 4대 문명이라고 한다. 하지만 세계 4대 문명의 하나로서 황하(黃河) 문명이라는 명칭이 잘못된 표현이다. 왜냐하면 여기에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할 지라도 항상 창조적이고 선진적인 중원문화와 그 영향을 받아 후발(後發)되는 주변문화1)라는 중화주의적 사고가 깃들여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보다 나은 표현일까? 가장 적절한 표현은 아직까지 떠오르지 않지만 일단 저자가 언급한 중국 문명이라는 표현도 무난하다고 생각한다.


 


, 그럼 중국 문명은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는가에 대해 생각해보자.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지 않는 한, 누구도 중국문명의 기원에 대해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저자는 중국문명은 경륜을 지닌 원로(元老)를 중시하는 농경사회에, 서양문명은 영웅(英雄)을 중시하는 수렵사회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국문명에서는 신기하게도 신석기시대에 형성된 농경문화의 특징이 21세기의 오늘날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2)고 하면서 중국 문명의 원형(原型)을 신석기 시대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저자의 판단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겠지만 한번 검토해볼 만한 견해가 아닐까 생각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소설가 장룽[姜戎], 저자와는 정반대의 결론을 내렸지만, 그의 소설 <늑대토템>에서 늑대로 상징되는 유목민족과 ()’으로 상징되는 농경민족을 구분하고 쌍방간의 소통이 단절되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는 점이다.


 


중국문명의 특징


구도 중국 문명이 농경사회에 근거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농경사회에 근거한 중국문명만이 가지는 특색은 무엇일까?


첫째, 유독 중국문명만이 원래의 상형문자 체제를 수천 년 동안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수천 년 전의 선인들의 지혜를 그대로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난 강점이 아닐 수 없다.


둘째, 황하를 중심으로 한 소위 중원문화(中原文化) 4방의 주변문화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진 소위 다문화를 토대로 성장했다는 점이다.


셋째, 이미 기원전에 신분세습적 봉건제를 타파하고 능력 위주의 중앙집권적 관료국가를 형성해 수천 년간 이를 정치하게 다듬어 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3)


 


번째 특징이야 더 논의할 것이 없으니 두 번째 특징부터 살펴보자.


20세기 초 서세동점(西勢東漸)의 거센 흐름 속에서 J.Gunnar Anderson 등에 의해 앙소문화(仰韶文化)가 발굴되면서 중화주의(中華主義)에 뿌리를 둔 삼황오제(三皇五帝)에서 비롯한 유구한 역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로 인해 청동기기술, 한자의 조형(祖型)인 갑골문(甲骨文), 천문역법, 심지어는 정치제도까지도 서아시아에서 그 기원을 찾는 연구가 서아시아인의 동천설(東遷說)과 함께 유행하였으며, 이것은 19세기말 이래 일부 서양학자들이 주장한 이른바 중국 민족 및 문명의 서방기원설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였다. 물론 이러한 주장들은 문화전파론(文化傳播論)의 경신(輕信), 상이한 문화권간에 나타나는 개별적인 유사현상의 지나친 강조에 불과한 것4)이었다.


왜냐하면 고대문명에서도 각 문명권 간에 상호 부단한 접촉과 교류가 존재했음은 말할 것도 없다. 각 문명권이 상호 유사성을 적잖이 띠게 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결코 어느 문명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면서 일방적으로 타 문명권에 전파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세계가 일일 생활권에 들어간 21세기에서조차도 실시간으로 지구 곳곳의 모든 사람과 수많은 정보를 공유할 지라도 여전히 자신들의 역사문화적 전통의 맥락에 입각해 해석하고 선별해 수용하고 있는 것5)이기 때문이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활발한 발굴조사에 의한 풍부한 고고학 자료 등에 의해 B.C. 6,000~5,000년 사이에 거의 전 중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신석기문화의 단계에 진입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 중요한 것은 각 지역의 신석기문화가 거의 동시에 다발적으로 시작되었을 뿐 아니라 각기 독특한 성격을 띄고 있어 어느 한 문화의 중심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이다.6)


여기서 황하(黃河) 중 하류의 중원지역(中原地域)을 중심으로 하는 중화주의(中華主義)에 입각한 세계 4대문명의 하나로서의 황하문명(黃河文明)’이 설 자리는 사라지게 되었다. 오히려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앙소문화(仰韶文化)에서 발전한 하남 용산문화(河南龍山文化)에 뿌리를 두고 있는 중원문화(中原文化)’가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에서 발전한 산동 용산문화(山東 龍山文化), 내몽고 대/소릉하(/小凌河)에서 발전한 홍산문화(紅山文化), 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와 마가빈문화(馬家文化)에서 발전한 양저문화(良渚文化) 등 주변문화의 영향으로 성립되었다고 볼 여지가 있을 정도이다.


 


, 저자는 세 번째 특징이 전제정(專制政)’이 아닌 제왕정(帝王政)’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제왕정(帝王政)’이 중국사회를 중국 사회답게 유지시켜온 수단으로 보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상대(商代)의 관제(官制)나 봉건제는 주대(周代)의 그것에 비해 훨씬 미숙한 것 같지만 ()’ 또는 상제(上帝)’를 정점으로 형성된 종교적 관념과 그에 부수된 제사체제7)를 통해 유지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주()가 상()을 이으면서 상()의 봉건제에 공통혈연의식에 의한 종법질서(宗法秩序)를 결합시키고, 이를 천명(天命)과 천덕(天德)이라는 관념을 내세워 보다 보편적인 규범으로 강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왕조가 내세운 천명(天命)과 천덕(天德) 개념은 이후 전개되는 중국 문명의 특징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계기로 작용8)하였다. 천명론(天命論) 자체가 한번 수명(受命)한 천명(天命) 및 이에 상응하는 천덕(天德)이 혈통에 의해 세습된다는 모순을 노출시킴으로써 저자는 춘추전국시대에 봉건질서의 붕괴와 제국질서의 성립이 이루어졌다고 본 것이다. 이를 저자는 제왕정(帝王政)이라고 부르면서 전제정(專制政)과 구분 짓는다.


 


자가 생각하는 제왕정(帝王政)은 제왕(帝王)의 명에 의해 천하가 다스려지지만, 신분세습의 폐쇄적인 봉건제와 달리 학덕(學德)을 연마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통치계급에 진입할 수 있는 정권의 개방성, 재상제 및 언관제(言官制)를 통한 제왕권의 견제, 사대부(士大夫)로 통칭되는 지배엘리트에 의한 군신공치(君臣共治) 등을 특징을 지녔다고 한다.


 


러나 이러한 저자의 주장은 볼프람 에버하르트(Wolfram Eberhardt) 1952년에 이미 주대(周代)를 정복에 의한 봉건제도가 확립된 시기로 잡고, 그 봉건시대를 이은 한() 이래의 시기를 지배층의 사회적 성격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여 젠트리(士人)’ 사회로 구분9)하였던 것의 또 다른 변주(變奏)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점 등을 살펴볼 때, 이 책은 대중성과 전문성이라는 2가지 토끼를 쫓으려다가 그 어느 쪽도 2% 부족한 듯한 인상만 남겨주는 아쉬움이 남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1) 이성규, “중국문명의 기원과 형성”,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 <강좌 중국사> Ⅰ, (지식산업사, 1989), p. 31



2) 신동준, <중국문명의 기원>, (인간사랑, 2005), p. 71



3) 신동준, 같은 책, p. 27



4) 이성규, 같은 책, p. 27



5) 신동준, 같은 책, p. 44



6) 이성규, 같은 책, p. 29



7) 이성규, 같은 책, p 76



8) 신동준, 같은 책, p. 392



9) 민두기, “중국사 시대구분론의 사회적 배경과 그 의의 및 전망”, 민두기 , <중국사시대구분론>, (창작과비평사, 1984), p. 17

좋아요
댓글
6
작성일
2023.04.26

댓글 6

  1. 대표사진

    waterelf

    작성일
    2010. 8. 26.

    @indiaman

  2. 대표사진

    初步

    작성일
    2010. 8. 27.

  3. 대표사진

    waterelf

    작성일
    2010. 8. 28.

    @初步

  4. 대표사진

    아름다운그녀

    작성일
    2010. 8. 28.

  5. 대표사진

    waterelf

    작성일
    2010. 8. 28.

    @아름다운그녀

waterelf님의 최신글

  1. 작성일
    5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5시간 전
  2. 작성일
    2025.4.2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27
  3. 작성일
    2025.4.25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5.4.25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5
    좋아요
    댓글
    260
    작성일
    2025.4.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149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120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